IT/TIL(127)
-
20231116_기록_숫자 문자열과 영단어(프로그래머스)
오늘 한 것들 알고리즘 코드카타 Chapter 2 프로그래밍기초 팀 프로젝트 오늘의 TIL은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로 문제의 내용은 1
2023.11.16 -
20231115_기록_최소직사각형(프로그래머스)
오늘 한 것들 알고리즘 코드카타 오늘의 TIL은 알고리즘 코드카타에서 나왔던 문제로 최소직사각형 이라는 문제이다.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86491 전체코드 더보기 using System; using System.Linq; 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 public class Solution { public int solution(int[,] sizes) { int answer = 0; // 모든 명함을 담을 수 있는 크기의 지갑 // 가로가 세로가 주어진 입력값에 대해서 // 둘 중에 긴 쪽을 가로로 만들어서 w를 h로, h를 w로 만들어서 // 이 중에 가장 큰 w와 h를 구한 뒤에 곱해서 ..
2023.11.15 -
20231114_기록_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(프로그래머스)
오늘 한 것들 Chapter 2 프로그래밍기초 개인과제 개선 알고리즘 코드타카 오늘의 TIL은 두개로 우선은 알고리즘 코드타카에서 배운 내용이다. 더보기 문제는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로 아래의 링크이다.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4735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문제를 설명하면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t와 p가 주어지는 경우에 문자열 t에서 문자열 p의 길이와 같은 부분 문자열들을 추려낸 경우, 그 부분 문자열들이 문자열 p보다 작거나 같은 수의 갯수..
2023.11.14 -
20231113_기록_개인과제
오늘 한 것들 Chapter 2 프로그래밍기초 개인과제 오늘은 Chapter 2 프로그래밍 기초 개인과제의 1차 제출일로 오늘까지 구현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제출하였다 과제를 간략히 요약하면 더보기 과제 개요 1. 던전을 떠나기 전 마을에서 장비를 구하는 게임을 텍스트로 구현합니다. -> 던전이 메인이 아닌, 마을에서 상호작용하는 것이 메인인 게임 2. 상점의 아이템 중에서 나만의 장비를 구성하는 부분이 포인트입니다. 3. 장비는 여러개의 데이터가 함께 있는 만큼 객체나 구조체를 활용하는 편이 효율적 입니다. -> 특히 상점의 아이템을 구현하는 것이 포인트 -> 각 아이템들을 분류를 나눠서 구현해보자 ex) class 아이템 -> 하위에 무기, 방어구, 소모템 등으로 나누기 4. 관련된 여러 데이터를 다..
2023.11.13 -
20231110_기록_3진법 뒤집기(프로그래머스)
오늘 한 것들 알고리즘 코드카타 40. 3진법 뒤집기 Chapter 2 프로그래밍기초 개인과제 오늘 TIL은 3진법 뒤집기로 아래 링크의 문제이다.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6893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문제를 정리하면 주어진 숫자 n을 3진수로 변환(a) 변환된 3진수의 수(a)를 역순으로 재배열(b) 재배열된 수(b)를 10진수로 변환(c)하여 이를 출력하는 문제이다. 정답 코드 더보기 public int solution(int n) { int a..
2023.11.10 -
20231109_기록_Flood Fill(LeetCode 773)
오늘 한 것들 C# 문법 종합반 5주차 과제 2 - LeetCode 733. Flood Fill 오늘은 TIL은 LeetCode 733. Flood Fill의 풀이이다. 5주차 강의에서 여러가지 알고리즘을 배우면서 배웠던 DFS를 사용하라고 만든 문제이지만, 모든 풀이 및 해설들이 DFS를 사용하고 있기에 단순히 DFS를 사용해서는 해당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여 직접적으로 해당 문제를 고찰하며 풀이하려고 했다. (그냥 DFS를 사용해서 풀고, DFS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도 좋았을 것 같다) 우선은 문제의 해석인데 image라고 주어진 (m x n)의 행렬이 있다. 그 행렬의 m번째 행과 n번째 열에 있는 수는 image[m][n]으로 표현할 수 있다. 또한 integer가 3개 sr, s..
2023.11.09